올해 지방을 중심으로 발생한 아파트 청약 미달 현상이 경기도 주요도시에서 일어나면서 하반기에 수도권 분양시장이 냉각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공사비 상승으로 평균 아파트 분양가격이 크게 치솟아 실수요자들의 부담이 커진데다 '6·27 대출 규제'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돼 향후 중도금, 잔금 등 자금 마련이 어렵거나 시세차익이 적은 단지는 기피하는 '선별 청약'에 나서고 있다.
14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경기도 수원, 용인 등 일대에서 청약이 미달되는 단지가 증가하고 있다.
이달 1순위 청약을 진행한 평택 '브레인시티 메디스파크 로제비앙모아엘가'에서는 대거 미달 사태가 발생했다. 전용 59~101㎡ 1200가구 모집에 단 22명만 신청하면서 전 주택형이 미달됐다.
수원에서는 대출규제가 적용되기 전인 5월 '북수원이목지구 디에트르 더 리체 Ⅱ' 가 청약을 진행했지만 미달됐다. 이곳은 인근 시세 대비 높은 분양가가 책정돼 1순위 1678가구 모집에 364건 접수에 그쳤다.
또한 용인에서는 잇따라 미분양 단지가 나왔다. 앞서 처인구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단지는 총 1630가구 모집에 634명이 신청해 0.3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힐스테이트 용인 마크밸리'는 599가구 모집에 278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 0.46대 1을 기록했다. 즉, 1대 1의 경쟁률에도 못 미치면서 전 가구가 미달됐다.
미달된 단지의 공통점은 인지도가 낮은 브랜드인데다 입지 선호도가 낮은 곳에 위치해 있고, 무엇보다 주변 시세 대비 고분양가로 책정됐다는 점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일각에서는 올해들어 저조한 청약 성적을 기록하고 있는 용인, 평택 일대가 미분양관리지역으로까지 지정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미분양관리지역은 3개월 이상 미분양을 1000가구 넘게 유지하면서 공동주택 재고 수 대비 미분양 가구 수가 2% 이상인 곳 중에서 미분양 증가, 미분양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중 1개 이상의 요건을 충족한 지역에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미분양 물량이 늘어나면서 건설사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건설사는 보통 분양 계약 시 자금을 회수하는데 분양 실패 시에는 미수금 및 미청구 공사비 등 비용 부담이 커져 유동성 악화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아직은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서 입지 선호도가 높은 곳은 순위 내 마감을 이어가고 있지만, 언제든지 상황이 급변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크다"며 "또 분양가가 조금 높고 입지가 떨어지면 수요자들이 바로 외면하고 있는데다 대출 규제로 시장이 많이 얼어 붙었다"고 말했다.
부동산 전문가는 하반기 경기도 뿐 만 아니라 서울 등 수도권에서도 청약경쟁률이 감소하고, 순위 내에서 마감을 하지 못하거나 미계약 물량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하반기 물량이 대거 대기중이지만 입주자 모집공고가 나오는 단지는 대출 규제가 적용돼 예비 청약자들의 자금 부담이 커졌다"며 "앞으로 나오는 분양 단지의 성적이 좋지 않으면 건설사도 공급 시기를 조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